Java/기초편 - 2
메서드에 예외선언하기 그리고 Finally
피자보다 치킨
2022. 3. 10. 20:43
메서드에 예외 선언하기
- 예외를 처리하는 방법: try - catch문(직접처리), 예외 선언하기(예외 떠넘기기),감추기(빈catch 사용 - 웬만하면 사용안하기)
- 메서드가 호출시 발생가능한 예외를 호출하는 쪽에 알리는 것
※예외를 발생시키는 키워드 throw와 예외를 메서드에 선언할 때 쓰이는 throws를 잘 구별하자.
void method() throws Exception1, Exception2, ... ExceptionN { // 메서드에 예외 선언
//메서드 내용
}
//method()에서 Exception과 그 자손 예외 발생 가능
void method() throws Exception {//모든 종류의 예외
//메서드 내용
}
Git예제/응용 코드 보러가기
fianlly 블럭
- 예외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수행되어야 하는 코드를 넣는다.
※ try블럭 안에 return문이 있어서 try블럭을 벗어나갈 때도 finally블럭이 실행된다.try{ //예외가 발생한 가능성이 있는 문장들 넣는다. } catch (Exception e1) { //예외처리를 위한 문장을 적는다. } finally { //예외의 발생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수행되어야하는 문장들을 넣는다. //finally블럭은 try-catch문의 맨 마지막에 위치해야한다.